집이 무너질 것 같아서 집을 나왔다. 벽에 금이 가고 지반이 흔들리는 집으로 돌아갈 수 없었다. 당장 머물 곳 없어 막막하던 차에 고맙게도 지인이 거처를 내주었다. 낡고 비좁은 옥탑방. 전 세입자가 아직 가져가지 않은 짐 때문에 한층 더 비좁게 느껴지는 곳이지만, 라나(타라네 알리두스티)와 에마드(샤하브 호세이니)는 노숙을 피할 수 있어서 그저 다행스러울 따름이었다.

둘은 부부이면서 동료 배우이기도 하다. 고등학교 선생님으로 일하는 틈틈이 짬을 내 지역 극단 연극 무대에 오르는 에마드는, 곧 공연할 작품 〈세일즈맨의 죽음〉에서 아내 라나와 함께 주인공 부부로 출연할 예정이다.

그날도 연습이 밤늦게 끝났다. 남편보다 먼저 집에 돌아온 라나가 따뜻한 물로 샤워를 한다. 극단에 남아 다른 용무를 마저 처리한 에마드가 뒤늦게 집에 도착한다. 집으로 이어지는 계단마다 흩뿌려진 핏방울. 욕실 바닥에 흥건한 피. 집에 있어야 마땅하지만 집안 어디에도 없는 아내. 라나를 찾아 황급히 밖으로 뛰어나가는 에마드. 그렇게 시작된다. 영화 〈세일즈맨〉의 모든 이야기가 그날 밤, 그 텅 빈 욕실에서 시작되는 것이다.


〈씨민과 나데르의 별거〉(2011), 〈아무도 머물지 않았다〉(2013)와 함께 이란 감독 아스가르 파르하디의 ‘가족 3부작’으로 불러도 좋을 〈세일즈맨〉을 보고 나오면서 나도 모르게 이렇게 중얼거렸다. “하여간 이 감독, 시나리오 정말 잘 쓴다니까.” 〈뉴욕타임스〉가 극찬한 것처럼 “평범한 사건을 비범하게 만들어낸 거장의 절묘하고도 세심한 연출”이 이번에도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다.

그날 밤, 그 텅 빈 욕실에서부터 서서히 금이 가는 관계, 뿌리부터 통째로 흔들리는 서로에 대한 신뢰와 기대, 비좁은 집을 더 비좁게 만드는 전 세입자의 잡동사니들처럼 비좁은 마음을 더 비좁게 만들며 뒤엉켜 있는 분노와 죄의식과 자기혐오의 감정들. 그리하여 ‘집이 무너질 것 같아 집을 나왔지만 벽에 금이 가고 지반이 통째로 흔들리는’ 게 단지 집만은 아니라는 걸 깨닫는 이야기. 언제 무너질지 몰라 위태로운 게 고작 콘크리트 건물만은 아니라는 걸 알아채는 스토리.

평범한 사건을 비범하게 만들어낸 거장의 연출

말하자면 〈세일즈맨〉은 법정에 가지 않는 법정 드라마다. 극장 안의 관객을 배심원석에 앉히는가 싶더니 어느새 검사의 자리에 세웠다가 정신 차려보면 다시 변호사로 만들어버린다. 에마드와 라나에게 닥친 ‘평범한 사건’을 함께 경험하는 동안, 관객 역시 비난과 변호와 연민과 혐오의 순간이 뒤섞인 ‘비범한 재판’의 당사자가 되고 만다. ‘무너지는 집’과 ‘세일즈맨의 죽음’이 영화 내내 영리한 메타포로 쓰인다. 무대 위에서 내가 남을 연기하듯, 무대 밖에서 내가 나를 연기하며 살아야 하는 우리 모두의 피로한 얼굴이 영화의 라스트신을 더욱 특별하게 만든다.

사실 〈씨민과 나데르의 별거〉(2011)와 〈아무도 머물지 않았다〉(2013)를 본 관객에게는 이렇게 긴 소개 글이 더 필요 없다. 이 한마디로 충분할 테니까. “그 영화 만든 감독의 신작입니다, 〈세일즈맨〉은.” “아스가르 파르하디 감독의 새 영화입니다, 〈세일즈맨〉이.” 아스가르 파르하디는 내게 그런 감독이다. 만일 당신이 앞서 말한 두 영화를 아직 보지 못했다면 ‘불운한’ 관객이지만, 혹여 〈세일즈맨〉마저 그냥 지나치고 만다면 ‘불행한’ 관객이라고 감히 말할 수 있다. 지난해 칸 국제영화제에서 각본상과 남자배우상을 받은 이 영화는, 올해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토니 에드만〉과 〈랜드 오브 마인〉을 제치고 외국어영화상을 수상했다.

기자명 김세윤 (영화 칼럼니스트) 다른기사 보기 editor@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