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중음악상(이하 한대음) 후보가 발표되었다. 음악평론가라는 직업 관련 프로필을 적을 때, 〈배철수의 음악캠프〉 작가와 더불어 가장 큰 뿌듯함을 선물해주는 명칭이 바로 한대음 선정위원이다. 한대음이 처음부터 순탄한 길을 걸은 건 아니었다. 낮은 인지도와 부족한 지원에 허덕일 때가 많았다. 이제는 후보로 선정된 뮤지션들이 앞다투어 후보에 오른 것만으로도 기뻐하는 모습을 본다. 이 직업을 선택하길 잘했다 싶은 순간이다.

몇 가지 원칙이 있다. 한대음은 분과별로 운용되는데, 내가 속한 록·모던록 분과 외의 장르에는 관여하지 않는다는 거다. 나에게만 하루가 48시간 주어지지 않는 이상 모든 음악을 챙길 순 없다. 노력해봐야 록과 팝 정도가 한계다. 심지어 지난 1년간 발매된 록과 모던록 음악들을 다시 점검하느라 며칠을 써버려야 했다. 이 이상은 적어도 나에게는 무리다.

이름이 좀 알려지다 보니 광고 비슷한 것도 했다. 스마트폰 지면 광고였다. 냅다 수락한 건 아니다. 사운드에 심혈을 기울인 스마트폰이라는 게 광고주의 주장이었는데, 직접 들어보니 수긍할 만한 퀄리티였다. 그래서 수락했고 돈 좀 벌었다. 그 돈으로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시원하게 술을 쐈다는 건 비밀로 해달라.

ⓒ한국대중음악상 선정위원회한국대중음악상 후보에 오른 것만으로도 기뻐하는 뮤지션이 많다.

한 유명 평론가가 최근 광고로 구설에 올랐다. 그걸 보면서 직업윤리를 지키는 게 얼마나 어려운지 다시금 깨닫는다. 먼저, 그가 특정 음식을 맛없다고 단언한 것에 나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생각한다. 근거를 댈 수 있다면 그렇게 해도 된다. 그와 같이 강하게 말할 수 있는 건 평론가로서 대단히 용기 있는 태도라고까지 여겼다. 이런저런 자리를 통해 그의 팬임을 자처하기도 했다. 기대가 컸다는 의미다.

그의 말마따나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누구나 광고를 찍을 수 있다. 평론가·칼럼니스트라면 문제가 좀 다르다. 평론가는 광고를 하면 안 된다는 뜻이 아니다. 다른 유명인보다는 좀 더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 광고에서 내뱉는 말이 곧 평가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나는 그가 맛없다고 주장한 음식이 맛없게 느껴질 수도 있다고 본다. 떡볶이와 치킨 말이다. 그러나 어떤 프랜차이즈 커피가 황금비율이라고 단언하고 특정 떡볶이 브랜드 모델로 나선 순간, 그 말들은 설득력을 잃어버린다. 떡볶이의 경우 모델료로 기부했고, 성인 안주 개념이었다는 걸로 집 나간 설득력을 회복할 순 없다.

광고모델이 되는 순간 평론가의 옷을 벗는 그

그는 “한국 대중음악 수준이 높지 않다고 말한 사람도 방탄소년단 음악은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라며 변명했다. 그렇다면 왜 ‘그’ 커피가 황금비율인지, 다른 라면들에 비해 뭐가 특별해 ‘그’ 라면의 모델을 한 것인지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대해 그는 “소비자의 판단에 맡기면 된다”라며 반론했다. 소비자의 판단에 맡길 거면 평론가라는 직업은 대체 왜 존재하는 건지 묻고 싶다. 그는 광고모델이 되는 순간에만 평론가의 옷을 스윽 벗어던졌다.

감당할 수 있는 범위 이상의 돈이 들어올 기회가 생긴다면, 솔직히 나도 어떻게 대처할지 모르겠다. 그럼에도 내 직업에 대해 최소한 윤리적인 마지노선을 지키려 애쓸 것이다. 본보기까지는 바라지도 않는다. 반면교사가 되지 않는다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기자명 배순탁 (음악평론가) 다른기사 보기 editor@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