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사무실에서 두 교수의 다른 행보가 화제가 됐다. “둘이 친하지는 않은가 봐.” “지금 분위기로는 ○○○이 되는 거 아니에요? 나중에 두 사람 어쩌려고 저러지?”

지방선거에서 당선 가능성이 높은 한 후보의 캠프에서 중책을 맡은 ㄱ교수와, 유력 후보에 맞서 출마한 다른 후보의 핵심 브레인으로 누구보다 열심히 활동해온 ㄴ교수 이야기였다. 때가 때이니만큼 말도 많고 떠다니는 이야기도 많다. ㄴ교수는 왠지 운동권 출신 같다는 둥 ㄱ교수가 더 줄을 잘 섰다는 둥. 직원들은 종종 마주치면 인사하던 두 사람이 정치인 옆에 서 있는 모습을 낯설어하면서도 흥미롭게 지켜보았다.

선거를 맞아 이번에도 어김없이 많은 전·현직 교수들이 특정 정당이나 정치인을 지원하거나 직접 정치를 해보겠다며 나섰다. 전국 각지에서 수십명, 수백명의 교수들이 단체로 지지 선언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교육감까지 선출하는 지방선거여서 교수 출신 후보들이 유독 눈에 많이 띄었다. 교육감 선거는 정당 공천이 없지만, 많은 사람들이 교육감을 정치인으로 향하는 징검다리로 여기고 있다.
 

ⓒ박해성 그림

정치권의 부름을 받았든 먼저 정치권에 기웃거렸든, 이들을 모두 ‘폴리페서’라고 몰아세울 생각은 없다. 한국에는 유능하고 신뢰할 만한 싱크탱크가 부족하다. 정치권에서 한 분야의 전문가를 찾다 보면 적임자가 교수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박사학위 소지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직업도 교수이다. 교수 처지에서는 평생 매진해 얻은 지식과 경험을 현실정치에 적용하며 국가와 사회에 기여하는 좋은 기회일 수도 있다.

대학 처지에서도 은근히 교수의 정치권 행보를 반기는 측면이 있다. 지난 대선 때 우리 대학 한 교수가 문재인 캠프에 참여하고 있다는 얘기가 들려왔다. “그러다 청와대 들어가거나 장관이라도 하는 것 아니냐”는 반응이 많았다. 대학으로서는 나쁠 것이 없는 시나리오다. 학교 이름도 알리고 급할 때 정부 부처, 국회, 정치권과 연결되는 중요한 채널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최소한 ‘우리 대학에 해가 되는 일은 없겠지’ ‘중요한 정보나 부처 분위기를 남보다 늦게 파악하진 않겠지’ 하는 식의 기대도 깔려 있다.

연구자로서 교수 개인에게도 실익이 많다. 현실 참여라는 명분이 아니더라도 정치권에 한 발 걸치고 있는 것이 학회에서의 본인 위상 제고나 연구 과제 선정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교수를 선호하는 공공·민간 부문의 각종 자문위원·평가위원·전문위원 위촉식에 불려 다니기도 쉽다. 분야마다 편차는 있겠지만, 연구 과제가 많은 교수나 외부 활동이 활발한 교수 밑에는 지도 학생도 많은 경향이 있다. 어쨌든 연구비가 부족하지 않고, 제자들에게 일감을 가져다주기 때문이다.

지도 학생들이라도 미리 정리해주길

교수의 정치 참여가 낳는 최대 피해자는 역시 학생들이다. 맡고 있는 수업은 다른 강사로 대체하면 되지만, 밀착 지도를 받던 대학원생들은 지도교수가 갑자기 학교를 떠나거나 휴직이라도 하게 되면 당장 학위논문에 영향을 받는다. 보통은 지도교수를 변경해주지만 세부 분야나 방법론이 맞지 않을 경우 학교를 옮기기도 한다.

부탁하건대 정치에 관심이 있거나 청와대 호출, 장관 하마평, 정부 산하기관 기관장 자리에 안테나를 세우고 있는 교수라면 미리미리 지도 학생들을 정리해주길 바란다. 좀 더 욕심내자면, 훌륭한 성과는 못 내더라도 부끄럽지 않은 정치인, 열심히 정직하게 일한 공직자와 참모로 기록되고 캠퍼스로 돌아와 달라. 정권의 성공을 위해 나선 교수들이 국정을 어떻게 망가뜨리는지, 권력 앞에서 어떻게 양심을 버리는지, 우리는 이미 충분히 보고 배웠다.

기자명 이대진(필명∙대학교 교직원) 다른기사 보기 editor@sisain.co.kr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