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
![]() |
![]() |
![]() |
<1>
청계천과 을지로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
<2>
인공위성도 만든다는 청계천 공구상가
1960년대부터 기술 장인 5만여 가구가 모여 제조업의 기틀을 마련했던 곳이다.
<3>
“다른 데 가더라도 얼마나 버틸 수 있을까”
에어컴프레서 제작 업체인 ‘영진사’의 김남술 사장은 45년간 일했던 터전을 떠난다.
<4>
문을 닫은 공구상가와 공장들만 약 400여 개
지난해 10월부터 세운재정비촉진지구 일부 구역에 철거가 시작됐기 때문이다
<5>
“여긴 하나의 유기체 같은 곳“
기계 부품 하나 혼자 만들어지는 법이 없다. 각 공장들이 톱니바퀴처럼 맞물려 돌아가는 것이 청계천만의 산업 생태계가 가진 특징이다.
<6>
60년째 자리를 지켜 온 신아주물의 김학률 사장
“도면도 없이 말 몇 마디만 주고 받으면 뚝딱하고 만들어지는 거죠. 어쩔 땐 말 없이 갖다줘도 척 하고 알아들어요. ‘이거 신아주물에서 왔네?’하고요.”
<7>
“이 다음 연결고리가 끊어지니 완제품을 못 만들죠”
일부 구역의 재개발이 진행되자 전체 생태계가 흔들렸다. 신아주물은 당장 영업이 어려운 상태다.
<8>
‘도심의 산업생태계를 유지하고 무분별한 철거를 지양한다’
서울시가 밝힌 도시재생사업의 방향성. 그러나 세운상가의 재생사업을 추진하는 동시에 나머지 청계천과 을지로 일대는 재개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9>
‘재개발 사업이 제조업 생태계의 핵심을 부수고 있는 셈이죠’
논란이 일자 박원순 서울시장은 1월16일 “(현 상황을) 재검토해 새로운 대안을 발표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전체선택후 복사하여 주세요. 닫기